- 상호비방, 특정 업체 및 개인 광고/ 비방, 작성후 탈퇴를 반복하는 게시물 및 운영에 차질을 빚는 게시물은 통보없이 삭제됩니다.
- 학술관련한 질문은 포럼란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정치. 종교및 지역갈등 등을 유발할 수 있는 글은 게시을 금지합니다
- 급여,기공수가와 관련된 일체의 게시글은 삭제합니다
- 자유게사판의 학술관련한 질문은 게시글 검토후 포럼게시판으로 이동됩니다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안녕하세요 치기공과 13학번 학생입니다.

첫번째

이번에 재료학을 공부하면서 응력에 대한 그래프와 강도에 대해서 공부를 하고 있는데 인장강도의 개념에 대하여 햇갈리는 것이 있어서요

응력에서 설명하는 인장강도의 개념은 물체를 변형시킬때 가하는 힘이라고 하는데 교수님이 최종강도를 설명하실때의 인장강도는 인장하중을 받았을때 파절됨이 없이 영구변형에 잘 견디는 응력이라고 설명 하셔서 인장강도의 개념에 대해 햇갈려 어떤것이 정확한 개념인지 알고 싶습니다.

 

두번째

 응력부분에서 진응력의 개념에 대해 잘 알고 싶습니다.

교수님이 설명하신 진 응력은 하중을 실제 단면적으로 나눈 값이라는데=힘/파단면이라고 합니다.

저는 아직 이해가 가지 않아 질문을 드리는데 쉽게 예를 들어 설명을 해주셨으면 합니다.

 

 

 

선배님들의 조언과 설명을 듣고 열심히 공부하고 싶습니다.

  • profile
    若水(약수)전정호 2013.04.11 02:04
    그리고 이런건 좀 검색을 하시는 습관을 들이시길....학생이라니 하는 말씀입니다.
  • profile
    박성민 2013.04.11 04:02
    조언과 설명 감사합니다.
  • profile
    若水(약수)전정호 2013.04.11 04:37
    google 검색을 많아 활용해 보세요... 같은 내용이 약간은 다르게 서술되어
    있는것이 많을꺼에요. 그걸 두세가지 보시면 이해하기가 더 쉬워요 화이팅입니다!!!
  • ?
    nix 2013.04.11 03:11
    오~ 대단하십니다^^
  • ?
    털니도사 2013.04.11 05:21
    저도 검색을 해봤는데 인장응력에 대한 이해가 전정호님과는 달라 나름의 생각을 남깁니다.

    응력이란 인장력, 압축력, 굽힘력, 전단력 등에 대항하는 물질 본연의 힘입니다.
    작용과 반작용으로 이해하면 쉬울듯합니다.
    재료가 인장력(잡아 당기는 힘)에 대항하여 견디는 힘이 인장응력이며 그 한계치를 인장강도라하며 한계를 넘어서면 끊어집니다.
    재료가 휨력(구부리는 힘)에 대항하여 견디는 힘이 휨응력이며 그 한계치를 휨강도라 하며 한계를 넘어서면 구부려져 가소성(영구변형)이 됩니다. <기공과정에서는 클라스프의 탄성과 연관 지을수 있음>
    외에 전단응력<주연결자등의 파절과 연관>, 압축응력<포세린이나 레진치등의 파쇄와 연관> 등도 이상과 같이설명합니다.

    인장력에 대항하는 응력값은 공칭응력값과 진응력값이 있으며 공칭응력은 공인된 기계로 계측시 최초의 단면적을 기준으로 계측된 응력값이나 실제의 진응력은 인장력이 증가할수록 늘어나면서(즉시 끊어지지 않는다면) 단면적이 줄어들어 매순간의 응력은 실제는 달라지므로 진(참)응력이라하며 공칭응력보다 같거나 크게됩니다.<고무줄이 늘어나면서 단면적은 줄어든다>
  • ?
    스마일맨 2013.04.11 09:10
    저도 소시적에 기계공학을 전공했었는데... 기계공작법책이 어디있더라.... 음... 암튼 감사합니다..
  • ?
    꼴메기 2013.04.11 05:50
    책에 나와있는 응력변형률선도 보면 간단한건데......
    배운지 오래되서 잘은 모르겠지만 (틀린것도 있을거예여) 한번적어볼께요

    책에 나와있는 응력변형률 선도표에서 세로선은 외부에서 작용하는 하중응력으로
    보면되고 가로선은 연신률(변형률)로 보시면 됩니다.
    (우리가 볼건 외부하중과 변형률에따른 내부응력 변형률 선 그래프를 보면되죠 그게
    위 두가지로 구하는값이니.시편을 물리고 양쪽으로잡아당길때변화를그린표임)

    비례한도 탄성한도 항복점 설명은 패쓰하께요^^

    그럼 항복점을 지나서 선이 두갈래로 갈라지죠? 갈라지기 전후점 튀어나온부위 즉 좌측 세로
    선(하중응력)과 연결했을때 최대가 되는지점이 최대하중이 작용되는지점인데
    여기를 그물체가 가진 인장강도라고 보면 될거예요
    이지점을 지나면 최대하중보다 힘을 적게줘도 늘어나면서 끈어지게되죠

    즉 인장강도는 이 시험편이 견딜수 있는 최대의 하중을 단위면적으로 나눈 응력으로 보심될겁니다.
    σ(응력)시그마는 A(면적)분의P max (맥스 힘이 최대일때)

    그럼 진응력은 어디냐?
    항복점에서 두선으로 갈라진 선중 위에선끝까지 입니다.
    인장강도(최대하중점)점 부근을 지나고 나서는 힘을 늘리지 않아도 병목처럼
    늘어나는 넥킹현상이 일어나다가 나중에 뚝끈어지게 되는데
    이거 위에 공식에 넣어보면 힘을 맥스값 그대로 두고 단면적만 적게 대입시켜보면
    응력은 계속 커져요 (최대힘보다 적게주거나 같게줘도 단면적이 계속 작아지면서
    얇아지게되니까..임의로 단면적값을 계속 줄여대입하면 응력은 계속커짐 응력은 단위면적에 반비례하니까)
    그걸 표로 나타낸게 위에 점선(진응력변형률선도)입니다(트루응력). 밑에선은 공칭응력변형률선이구요


    응력은 먼지 잘아시겠지만 설명을 다시하자면 어떤물체의 외부에
    힘을줄때 이를 외력또는 하중이라고 하고 그힘에 견디기위해 내부에
    발생하는 힘을 반력또는 내력이라고 하는데 이 모든 합력을 단위면적당
    나눈힘을 응력이라고 하죠. 즉 σ(응력)시그마는 A(면적)분의P(힘) 이죠
  • ?
    스마일맨 2013.04.11 09:12
    한마디로 와우~ WoW입니다...
  • ?
    스마일맨 2013.04.11 09:19
    '응력변형률선도 보면 간단한건데... ' 말씀에 백퍼 공감하지만....

    선형계수와 응력을 잘 볼줄 모르는 등록금 케쉬카우도 있었음을 알아주세요.. T.T
  • profile
    시간여행자 2013.04.11 07:46
    10000번째 게시글에 어울리는 학술 토론이군요 ㅎㅎ

    저도 기본적인 지식은 검색을 추천합니다 ^^

    열공하세요!!
  • ?
    우주아빠 2013.04.11 09:00
    공감합니다. 10000번째 게시글이라 할만하네요
  • ?
    스마일맨 2013.04.11 09:17
    '~가 그러하다' 정도로 넘어가는게 어떨까요? 정말 초야에 은거 고수들에 깜놀 했습니다... --;
  • ?
    무릎팍기사 2013.04.11 19:45
    다들 교수님들 ...

    많이 배우고 갑니다.
  • ?
    태권V 2013.04.18 06:52
    머리아프다! 이거 학생이 잘못했네 !
  • ?
    들개 2013.04.20 06:15
    화이팅~~
  • ?
    dragon 2013.04.30 05:20
    별로 중요하지 않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영상 화면 캡쳐 후 게시물내에 직접 사진이 보이게 질문하는 방법 / 07분 05초 4 덴탈2804 2024.02.27 358
공지 자게 일반회원에서 정회원이 되는 빠른 방법 덴탈2804 2021.01.26 7062
공지 자게 홈페이지 개편후 주요 변경된 이용 안내입니다 (2019.10.25) 덴탈2804 2019.10.30 11862
공지 자게 [자유게시판] 게시글 관리규정 (2019.10.25 변경) 덴탈2804 2015.11.24 89591
공지 자게 [공지] 아이디 및 비번찾기 안내입니다 file 덴탈2804 2013.08.01 148920
13864 자게 가입인사 5 박영관 2008.10.24 2295
13863 자게 가입인사 5 김민성 2008.09.22 2313
13862 자게 가입인사 게데바라 2013.01.28 3210
13861 자게 가입인사 (수정) 11 김범석 2007.01.21 3246
13860 자게 가입인사 ~~ 4 소환미리내 2011.10.08 2440
13859 자게 가입인사 드려요 10 김용진 2007.06.21 2274
13858 자게 가입인사 드려요 10 아담스 2008.02.24 2273
13857 자게 가입인사 드려요 ^ ^ 23 H2 2006.12.20 3569
13856 자게 가입인사 드려요...박종윤씨 찾으려다 ... 15 박애리 2010.09.26 2283
13855 자게 가입인사 드려요~ 11 눈사람재체기 2008.02.23 2275
13854 자게 가입인사 드리며 교정기공 세미나 문의 3 짜짜 2016.07.19 2687
13853 자게 가입인사 드립니다 13 산사랑 2006.11.30 3572
13852 자게 가입인사 드립니다 18 다웁게살자 2007.01.02 3906
13851 자게 가입인사 드립니다 15 이재두 2007.01.16 3941
13850 자게 가입인사 드립니다 4 캐소장 2024.02.20 46
13849 자게 가입인사 드립니다 ! 10 가이버 2015.08.10 2363
13848 자게 가입인사 드립니다. 17 김지영 2007.01.04 3805
13847 자게 가입인사 드립니다. 11 소현준 2007.01.09 3662
13846 자게 가입인사 드립니다. 12 김범석 2007.01.14 3776
13845 자게 가입인사 드립니다. 10 오정욱 2007.01.19 3458
13844 자게 가입인사 드립니다. 4 gunja11 2021.05.06 70
13843 자게 가입인사 드립니다. 15 필교 2021.04.28 93
13842 자게 가입인사 드립니다. 3 농아인 2021.05.23 41
13841 자게 가입인사 드립니다. 5 미더덕 2021.05.24 53
13840 자게 가입인사 드립니다. 4 Kkkkcccc 2021.06.11 64
13839 자게 가입인사 드립니다. 8 1200MPa밀가루 2021.08.24 74
13838 자게 가입인사 드립니다. 6 (주)메가젠임플란트 2021.09.03 95
13837 자게 가입인사 드립니다~ 4 온니나영 2009.03.24 2292
13836 자게 가입인사 올립니다 10 바다빛 2010.03.09 2275
13835 자게 가입인사 올립니다 3 김일민 2007.04.14 2271
13834 자게 가입인사 올립니다 13 김영기 2007.01.10 3740
13833 자게 가입인사 올립니다 17 이지기공 2007.01.16 4170
13832 자게 가입인사 올립니다. 13 글로벌 2006.11.11 3727
13831 자게 가입인사 올립니다. 17 오권윤 2007.01.17 3669
13830 자게 가입인사 하시는 분들께 당부드립니다. 23 관리자 2007.01.05 2874
13829 자게 가입인사ㅎㅎㅎ 12 2008.03.14 2293
13828 자게 가입인사가 안되네요 ~`` 13 file 김영숙 2007.06.29 2357
13827 자게 가입인사드려요! 6 강동구주민 2021.05.16 48
13826 자게 가입인사드려요^^ 16 dental 2007.01.14 3923
13825 자게 가입인사드려요^^ 16 김선아 2007.01.20 2520
Board Pagination Prev 1 ...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 420 Next
/ 420
  뉴스 & 칼럼
  자유게시판
  업계홍보 게시판
  한줄 게시판
 


* 2804아카데미 세미나 안내
✔ exocad 완벽 마스터! 익산
전액 국비지원! 6월 30일 마감!
7월22일~8월9일 평일 15일 과정
✔ 3Shape 종일반 20기 대구
취업 및 파트전환 전문 과정
6월 24~28일 평일 5일 과정
✔ 3Shape 고급 과정 33기 대구
이제는 모델리스 시대!
6월 22~23일(토/일) 2일 과정
✔ 3D Printing 오픈 세미나 익산
1급 지도사의 실패없는 프린팅!
3월 31일(일) 1일 과정
✔ 라미네이트 오픈 세미나 익산
디지털 진단 및 CAD 활용!
7월 21일(일) 1일 과정
✔ 3Shape 초급, exocad 초급
    메쉬믹서 활용
덴탈CAD, 온라인으로 배우자!
강의 동영상 6개월 이용 가능
문의전화 010.3510.2804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