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게

알랜킴님의 제2의 IMF의 글에 조금 더해봅니다.

by 그냥그런삶 posted Feb 23, 201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저는 우선 IMF세대로써 다시는 이런 일이 발생하지 않길 바라는 마음에서 글을 쓰는 것이라는 걸 서두에 말씀드리며

이글을 써서 누군가를 선동하려는 마음은 결단코 없다는 것을 밝힙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우리나라는 미국이 금리인상을 될 수 있도록 늦게 하던지 안하던지 바라는 분위기인데 금리 인상을 할 수 밖에 없습니다.

가장 큰 이유 중 하나가 지금 미국 경기가 눈에 띄게 좋아지고 있기때문입니다.

경기가 좋아지고 있는데 굳이 위기때 펼쳤던 정책을 유지할 필요가 있을까요?


그럼 양적완화 종료는 무얼 의미하겠습니까??
인위적으로 유동되는 화폐의 양을 늘려 화폐가치를 떨어뜨렸는데 그걸 중단한다는 말이겠죠?
다시말해 조만간 화폐가치를 올릴 수 있다는  말이고.

올릴려면?? 기존의 풀었던 화폐를 다시 거둬들여야겠죠?

그러려면 뭘해야겠습니까?

금리인상을 해야겠죠??

금리인상되면 외부로 유출됐던 화폐는 자국으로 몰릴 것이고 필요이상의 화폐는 파쇄해 버리면 그만입니다.

 

다시말해,

수요와 공급의 원칙에 의해
다시 달러의 가치는 올라갈 것이고.

 

기업의 활성화와 내수경기 활성화를 위해 저금리기조를 유지하고있는  우리나라 같은 경우는
금리와 달러의 유출 압박으로 인해 수분기째 인하와 동결을 반복한 금리를 올려야 되는 압박에 시달릴 겁니다.

문제는 그 시기인데요.

올해나 내년에는 미국이 금리 인상을 단행할 것이라고 보면
지금이라도 한은에서 점진적을 금리인상을 단행해야
그나마 미국의 금리인상 쇼크를 방어 할 수 있을 겁니다.

미국의 금리가 올라가면 현재 우리나라에 몰려 있는 주식시장의 달러가 나스닥으로 옮겨갈 꺼 뻔하구요.
이는 소수점 단위로 오르락 내리락하는 것에도 심각하게 반응하는 우리나라 주식시장에 큰 타격이
될 것입니다.

우리나라가 IMF때 디폴트를 당하지 않은 것은 내수의 문제가 아닌 기업과 은행 쪽의 부실 때문이었고
가계부채는 심하지 않은 상태였기때문입니다
그래서 금새 경기를 정상화 시킬 수 있었지만,
지금은 내수 침채에 가계부채 그리고 실업률도 만만치 않아서 우리나라도 디폴트가 올 가능성이 없는 것은 아니라고 봅니다.

 

디폴트나 제2의 금융위기가 오는 것에 대비할려면

개개인은
부채를 줄이고 부동산에 있는 자산을 안정적인 현물로 대체하는 것입니다.

 

국가는 점진적 금리 인상과 함께 부동산 활성화를 위해 펼쳤던 정책의 재검토와 

비지니스 프랜들리라는 명목으로 주었던 과도한 대기업의 혜택을 중소기업에게 일부 이전시켜

진정한 내수의 활성화를 시켜야 합니다.

그리고 낭비되는 국세의 흐름을 막아 효율적 국정운영화 함께 국채를 거둬들여야만 합니다.

 

지금 이순간을 최대한 행복하게 하기 위해서는 보이는 것들에 치중하면 안됩니다.
티비에서 나오는 것들만 보고 믿는 것보다

외국의 경제칼럼에서 현 우리나라는 바라보는 시각이나 
인터넷 뉴스에 흔히 말하는 좌.우파 가리지 않고 탐닉하는 자세가 필요할 듯 합니다.

 

그리고 해드라인으로 뉴스를 보시지 마시고 관련 검색으로 뉴스를 보시길 바랍니다.

세계경제 속에 한국은 용의 꼬리처럼 보이지만,

실질적으로는 뱀꼬리에 불과합니다.

 


 


Arti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