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09.18 01:27

변화와 대비..

조회 수 1404 추천 수 16 댓글 38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2.jpg

 

변화의 기로에 선 우리들은 지금 껏 모델을 보고... 모델을 조심히 다루며 살아왔습니다.

한번 깨져버린 모델은 임프레션을 다시 부으면 되었습니다.

그런데 덴쳐의 경우 모델이 실수로 상한 후 개인 트레이가 또한  깨졌다면 난감해 질 것입니다.

 

치형 모델이 데이터로 저장이 가능했졌다는 것은 이제 시작에 불과 합니다.

앞으로 가속도가 붙을 것이고 아날로그의 기공 작업은 점점 뒤로 물러 날것입니다.

 

물론 아날로그의 기공작업 능력 없다면 디지털 작업 능력 자체가 불가능 할 것입니다.

디지털 작업을 하더라도 단순 반복형 작업은 그 일의 특성으로  언제든 프로그램 상의

자동 기능으로 대체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비교적 불완전 했던 파샬의 3D Printing 작업이 곧 현실화 될 것 같습니다.

 

 

 

제목 없음.jpg

 

아날로그 작업을 해보지 않으면 디지털 디자인역시 어려울 것입니다.

그러나 이것도 단순 반복형 작업이기에 머지 않아 덴쳐 프레임의 기능적 요소를 모르고도....

시키는 일만 따라해도  디자인이 가능하게 될 것입니다.

 

 

 

 

 

1.jpg

 최근 테스트한 것

실제 3D printer의 출력물과 적합도 입니다.

 

위의 작업은

1.모델 릴피프 or 블럭 아웃 - NO

2.아가 or 실리콘 복제 - NO

3. 복제모형 - NO

4. wax up - NO

등등이... 사라진 작업입니다.

 

대신

1. 한번의 Scan

2. 디자인 입니다.

 

가장 큰 문제는 적합도와  공정 시간 3D printer의 가격인데..

공정 시간과 적합도는 상당히 효과적이라 볼 수 있습니다.

그래도 아직은 완벽하지 않습니다. 미흡한 부분들이 존재하며

20% 정도 손이 가야는 부분이 있습니다.

가격은 시간이 문제입니다. 기다리면 되겠지요..

 

암튼 이렇게 올린 것은

우리의 기술은 "정석"을 지켜야 하지만..

이 정석이 "고집"이 될수 있음을 한번 생각해 봐야 합니다.

 

불안을 조장하고 자 쓴 글이 아니고요.. 현실은 늘 직시해야 하는 상황입니다.. 

 

또 하나 더 이상의 퍼주기식 오픈은 모두를 힘들게 하는 일 이라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가급적 노하우를 그냥 오픈 하는 일은 없어져야 우리가 살수 있는 길이라 생각됩니다.

그리고 다른 분야에 공부를 해야 합니다.

 

댓가를 지불하고 기술을 배우는 문화가 정착되어야 하며

장비나 재료 업체들이 쉽게 재료 몇개 던져주거나 약간의 이익을 줌으로

세미나 강사를 요구하거나 홍보를 요구하는 것에

쉽게 응하는 것은 생각해 볼만한 문제입니다.

 

그리고 기공 작품 사진 도용에 대한 과감한 소송도 필요할 것입니다.

 

자세한 사항은 앞으로 

기공사가

기공사에 의한

기공사를 위한

매거진 덴탈2804를 통해서만 차츰 올리겠습니다.

 

꾸벅~

 

* 슬프지만 이젠 지키기 위해 노력하지 않으면 안되는 변화의 시점입니다. ㅜㅜ

removable 게시판에 올렸다가.. 이상해서 지우고..

여기서 올렸는데... 게시판의 성격에 안맞는 거 같고...

관리자님이 알아서 옮겨주세용~

  • ?
    다니엘 2015.09.18 02:14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생각이 많아지네요.
  • profile
    민주선 2015.09.18 21:41
    글을 올리면서도 고민과 함께 올렸습니다. 감사합니다~
  • profile
    민토리 2015.09.18 02:58
    이젠 스스로가 더 자기밥그릇을 챙겨야 되는 지금이 되어버렸고
    갈수록 예전에 있었던 '정'의 문화는 없어질것 같습니다.
    무료,공짜에 대한 타인의 자기것에 대한 합리화(먼저 줍는사람이 임자)
    가 너무 만연하고 당연시 여겨지는 지금이기에...
  • profile
    민주선 2015.09.18 21:42
    그냥 떨어진거 주어먹자...라는 마인드는 모두를 진흙탕 싸움으로 밀어 넣어죠.
    이젠 열의가 있고 성실한 사람이 사기가 꺽이지 않는 세상을 만들고 싶습니다~
  • profile
    서승우 2015.09.18 06:14
    생각이 많아 지는 글이네요...
    감사합니다.
  • profile
    민주선 2015.09.18 21:43
    생각이 많아 지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조훈현 선생님"의 책을 추천합니다. 읽어보니 꼭 기공사가 읽어야 할 책이더라구요~
  • profile
    서승우 2015.10.08 00:29
    아.. 소장님께서 페이스 북에 포스팅 해주셨었는지는 모르겠지만 이창훈 이세돌로 이어지는 계보에서 조훈현선생님께서 정상에서 내려와야하는 쓰라림과 배우는것들.. 또 정상에서 내려오는 제자를 바라보는.. 그땐 포스팅으로만 봣었지만 꼭 한번 책으로 접해보겠습니다.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
  • profile
    뿔없는악마(배창진) 2015.09.18 16:35
    오늘도 좋은말씀 ,공감가는 말씀,생각을 많이하게하는 말씀 너무 감사합니다.
  • profile
    민주선 2015.09.18 21:44
    공감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더 좋은.. 더 아름다운 보철을 만들고자 노력하시는 분들은
    반드시 대우를 받아야 합니다.
    그 노력 자체가 저에겐 아름다움입니다~

    배창진 실장님이 그런분이죠~
  • profile
    Nuclear 2015.09.18 18:12
    무언가 새로운 도전에는 그만큼의 시간과 노력은 리스크로 발생합니다
    쉽게 보는 인터넷의 정보라고 예외는 아니지요

    분명 주고 받는 무언가가 있어야 더 새로운 정보들이 공유됩니다..
    위원님 출사표에 무언가 단단한 다짐이 보여지네요
  • profile
    민주선 2015.09.18 21:46
    당하기만 하는 세상에서 이젠 기공사들이 그만 당했으면 하는 마음입니다.

    우리나라 중소기업의 핵심기술을 대기없이 쉽게 빼먹는.. 그런 치과계 세상이 살아졌으면 하는 마음입니다~

    치아 제작 기술은 우리가 갑이지요! ^^
  • ?
    이즈(조민구) 2015.09.18 20:31
    민주선님의 글에서 느끼는 것이 많습니다.
    좋은 글과 정보 감사합니다. ^^
  • profile
    민주선 2015.09.18 21:47
    만났을 때 부드러움과 강함을 동시에 지니신 분이구나.. 라고 느꼈습니다.
    좋은 인연과 함께 좋은 동감 감사합니다.~
  • ?
    기공가객 2015.09.18 20:40
    좋은글 정보 감사합니다
  • profile
    민주선 2015.09.18 21:48
    좋은 글 좋은 정보~
    기공가객님도 나중에 올려주실거라 믿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profile
    명탐정코난 2015.09.18 21:03
    이제는 분명 기공계의 영역이 손으로 하는 기술만이 아니라는 것을 충분히 느끼게 하는 글입니다.
    영역을 넓히고 새로운것을 생각하고 배우고 익혀야 잘 살 수 있는 시대가 온것이라 생각됩니다.
    또한 공짜의 노하우는 없어져야겠지요....
  • profile
    민주선 2015.09.18 21:50
    네..손으로 하는 기공의 영역이 조금 줄 뿐입니다.
    "고수"가 아닌 "변화"가 핵심입니다.~

    이젠 문이 더 좁아 지는 것 같아서 아쉽기도 하지만..
    기술의 격차를 만들어 냄으로 차별화가 되어야 할 것입니다.
    모두가 힘들고 슬픈 현실이지만...

    낙오와 도전 사이에 의지가 필요하다고 봅니다~
  • ?
    김정용gowest 2015.09.19 01:54
    유독 우리 나라에서만 기술을 배우는데 있어 비용을 지불하는것을 꺼리는 경향이 있는것 같습니다.
    기술에 대한 진정한 가치를 모르는것이겠지요.ㅠㅠ
    우리가 우리 기술에 대한 자존감을 갖는것이 중요할것같습니다.
  • profile
    민주선 2015.09.19 07:45
    "우리가 우리 기술에 대한 자존감을 갖는 것이 중요합니다"라는 말에 공감을 합니다.
    그런데 우린 언제나 자존감이 있었습니다. 우리 스스로 생각하기를..

    언제 부터인가.. 우리 기술을 사소한 것으로 여기는 풍습이 생겼습니다.
    그것을 "돈벌이의 수단"으로 여기는 것이죠.
    그런 사람이 많아 지면서..우리의 삶의 질은 더 추락했습니다.
    치과 기공기술을 발전 시킨 사람들은 대부분 큰 돈을 벌지 못했습니다.

    그 기술을 세미나를 통해서 쉽게 배워서 치과에 말을 잘하고 적용을 잘 시키는 사람이 돈을 벌었죠.
    그런데 전체의 삶을 점점 추락했지요.

    철저히 기술자가 대우 받는 사회는 우리 스스로가 만들어야 할 것입니다.~^^

    댓글 감사합니다.~ 꾸벅~
  • ?
    treatjw 2015.09.19 18:49
    덴쳐까지 3d세상에 대비해야하는군요..ㅠㅠ

    수가는 떨어질만큼 떨어지고 ... 참 힘든 기공계입니다~
  • profile
    민주선 2015.09.19 20:43
    10년 안에 풀덴쳐까지 될거라 예상해봅니다.
    정확한 적합에(당연히 중합수축이 없겠죠) 검 쇄이드 매칭까지 모니터에서 보고 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현재는 프린팅 레진 수축이 있습니다. 만약 베이스를 켐으로 깍는다면 이야기는 달라지겠지만..)
    지금 레진치아와 검 쇄이드 레진이 3D 레진 재료가 발달 하지 못해서 그렇지..

    앞으로는 3D 프린터도 재료..소재의 싸움임니다..

    더 이상 치과의 "기공물로 돈을 번다"생각은 안 될 것입니다.
  • profile
    고경훈 2015.09.20 03:31
    기대하고 있겠습니다 ^^
  • profile
    민주선 2015.09.22 18:22
    저도 시작 점이라.. 이제 테스트 한것에 불과 합니다.
    그런데 상당한 가능성을 보게 되었고.. 정말 머지않았구나.. 하는 상황입니다.~^^
  • ?
    백조짠순 2015.09.21 00:27
    이제 교합만 남았네요...
  • profile
    민주선 2015.09.22 18:24
    현제 스플린트 출력도 가능합니다.
    다만 치열 교합면과 표면 적합도와 고경의 오차를
    테스트 해보지는 않았습니다.

    스플린트도 레진을 믹싱하여 하는 작업이 사라질듯 합니다...
  • ?
    김명준 2015.09.21 04:36
    앞길이 막막하네요
  • profile
    민주선 2015.09.22 18:24
    막히면 뚫으면 되겠지요~ 힘네세요~^^
  • profile
    이일욱 2015.09.21 17:55
    월요일 부터 산뜻한 사진과 글을 읽고 기분좋게 출발합니다.

    우리의 힘이 점점 더 커질것입니다.

    그러기 위해 더 많은 공부와 또 우리의 업권을 지키기 위한 노력도 해야하고

    우리의 미래는 우리가 만드는 거죠.

    멋지시고 볼날만 기대합니다.~~^^
  • profile
    민주선 2015.09.22 18:25
    네.. 우리가 노력하고 공부해야 하는 시기입니다. ~
    함께 화이팅 하시면 시너지가 일어날 것입니다.
    그때에 뵙겠습니다~^^
  • ?
    적절한균형 2015.09.22 08:55
    와우 대단하세요..^^ ..안일하게 넋놓고있다가 ...시대가많이변했음을느끼네요...
    ㅠ.ㅠ
  • profile
    민주선 2015.09.22 18:28
    네.. 시대가 변했어요..TT
    접해보지 못하 분들이 불안감을 가지는 것은 당연하고요..
    상당히 많은 사람들이 그런 감정의 상태입니다.

    이 디지털 기술이 또한 덤핌으로 갈 수 있기에..
    생각을 많이 됩니다... 아무쪼록 기공사에게 득이 되기를
    생각해 봅니다..
  • profile
    헨지 2015.09.23 17:35
    진짜 점점 세상이 변해간다는 것을 다시한번 느끼게 됐습니다. 많은 걸 느낍니다.
  • profile
    민주선 2015.09.24 19:52
    변해가는 세상에서 더 좋은 시간들이 생겼으면 좋겠습니다. ^^
  • ?
    곰치아 2015.09.24 03:20
    저도 3d 프린터로 제작 할려고 준비 중입니다. 역시 빠르게 움직이시는 분들이 있구나 느끼네요...
  • profile
    민주선 2015.09.24 19:53
    해보시고 또 보여주세요~!
    함께하는 것은 좋은 것이지요~
  • ?
    김보성 2015.09.29 20:48
    좋은글 정보 감사합니다
  • ?
    쭌이아빠 2015.10.02 20:18
    가슴에 와닿는 글입니다......모든 산업이 혼돈의 시대인듯합니다.
    좋은글 감사합니다....^^
  • ?
    장승요 2015.10.07 08:38
    가슴이 답답합니다

  1. 앞니~

  2. 10월에도........

  3. 자연치 따라하기

  4. 내입속 따라하기

  5. 심한 변색치에 이맥스크라운???

  6. 오랜만에 올리네요..;;;

  7. custom abutment 제작과정 한번 올려봅니다

  8. 환자가 원하는 것

  9. 풀지르코니아 & GC Initial Gum

  10. 무시무시한 태풍들이 지나가고....

Board Pagination Prev 1 ...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 415 Next
/ 415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