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게

임플란트 써지칼 가이드 제작과정에 대해 소개합니다.

by 이영두 posted Nov 05, 201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1.JPG

 

ct(dicom) 파일을 stl 파일로 컨버터를 합니다.3.JPG

 

그리고 모델 또는 intra oral scanner data를 불러 merge를 하게 됩니다. ( 화면에서 보이는 붉은점, 노란점, 초록점 3점으로 merge를 합니다.)4.JPG

 

 
6.JPG

 
5.JPG

 merge가 된 화면입니다. 정도에 따라 그래프상의 색상으로 표시가 됩니다. 7.JPG

 이전 사진의 왼쪽의 검은색선이 이 화면의 단면입니다. 즉 scan data와 dicom data의 merge 가 양호합니다. 12.JPG

 scan data를 불러옵니다. 13.JPG

 치아를 배열을 합니다. top-down 방식이라 치아를 배열 후 임플란트의 식립위치를 결정하게 됩니다. 17.JPG

 

치아 배열 후 식립할 위치의 단면을 확인하고 어떤 임플란트를 위치시킬지 확인합니다. 18.JPG

 보통 4번의 위치에는 4.5*11.5를 기본으로 하기에 우선 위치시켜 봅니다.19.JPG

 링크기능을 이용하여 나머지 2개의 치아에 임플란트를 위치시켜 봅니다.(링크기능은 여러개의 임플란트를 식립할 경우 같은 방향으로 위치되게 하는 기능입니다.)24.JPG

 4.5*11.5를 플랜하고보니 뼈가 얇아서 안될 것 같습니다. 25.JPG

 그래서 4.0*11.5로 교체하였습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임플란트 플랜을 끝낸 후 수술 집도의에게 컨펌을 받고 약간의 위치수정을 거쳐 가이드가 제작되게 됩니다.

1년 가까운 시간동안 많은 케이스들을 실험하였고 처음 시도하는 것이라 여러가지 애로사항이 많았습니다.

하지만 이제 차츰 자리를 잡아가는 것 같습니다.

많은 소프트웨어가 있지만 어떤 것이 좋고 나쁘고가 아니라 어떻게 사용하느냐가 성공의 열쇠인것 같습니다.

앞으로 많은 발전이 예상되는 부분이기도 하여서 개인적으로도 기대가 많이 됩니다.


 

 



Arti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