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게

[퍼니스 실버테스트 방법]포세린 퍼니스는 온도가 가장 중요합니다.

by 퍼니스킹 posted Aug 14, 2018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0180813_105824.jpg

 

 

안녕하세요~ 퍼니스입니다.^^*

 

 

포세린 퍼니스를 오래 사용하다 보면 서서히 온도편차가 발생합니다.

 

물론 적절히 대응 하시겠지만 어느새 "뿌옇고 표면이 거친" 소성 후의 결과물을 보면 뭔가 잘못됐구나...하실 겁니다.

 

·        댓글 발췌 : 2017.06.08 01:22맨손의기봉이

갑자기 잘되던 프레싱에 문제가 생긴 적이 있었습니다. 마진이 덜 나오는 경우였는데 . 온도가 문제였습니다 . 실버테스트 하시고 한번 해보세요. 그때 장비 컨디션이 새거 사서 3년 사용하고 프레싱 횟수 700회 넘어갈 때였습니다 . 테스트 결과 온도는 -4도 정도 낮았습니다 . 테스트 후에는 다시 잘나왔습니다.

 

-윗글은 화면표기 온도보다 실제 온도가 낮아 인고트의 용융이 덜되어 발생한 문제였습니다.

 

포세린 퍼니스는 온도가 가장 중요합니다.

 

물론 진공률, 진공펌프, 머플, 챔버, 트레이...소성에 영향을 주는 요소가 많죠.

 

딱 두가지만 꼽으라면 "온도"와 "진공"입니다.

 

진공은 다음기회에^^*

 

 

모든 퍼니스에 사용할 수 있는 실버테스트 세트는 VITA와 데케마를 포함한 대부분의 퍼니스 제조사에서 나옵니다.

 

단, 이보크라는 Ivoclar전용이라서 범용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실버테스트 방법

 

1. 포세린 퍼니스는 30분 정도 완전히 예열되어야 합니다.

  (도재로housing의 양 끝을 만져보면 따뜻할 겁니다.)

 

2. 실버의 용융점은 961도입니다.

 

3. 포세린 퍼니스에 소성스케줄을 입력하고 실버를 파이어링 트레이 중간위치에 올려 소성을 시작합니다.

 

4. 1차로 955도에서 소성 후 실버가 녹지 않았음을 확인 했다면

    2차로 965도로 높여 소성을 시작합니다.

 

5. 실버가 녹을 때 까지 온도를 5도씩 추가로 높여가며 소성을 진행하고 완전히 녹으면(구슬형태) 완료합니다.

    ex) 975도에서 실버가 melting시 온도편차는 -10도 낮음

         해결 방법 : 퍼니스의 calibration값을 증가시켜 firing온도를 높입니다. (또는 소성스케줄을 +10도 높여 사용)

 


20180813_105207.jpg
 

 

VITA의 실버테스트 세트는 두께가 굵고 온도 변화에 예민하지않아 용융상태 확인이 쉽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 외의 제품들은 실버가 대부분 "실"처럼 얇아 너무쉽게 녹아버려 온도 변화에 예민하다는 점을 주의하세요.

[퍼니스 진공테스트 방법]2편 포세린 퍼니스는 진공이 매우 중요합니다.


Arti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