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게

기공료 현실화?????!!!!!! 2

by 박호성(부산,소장) posted Sep 17, 2018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회원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지금 시대는 디지털 보철물의 확대와 보철물 제작 방식의 다양화 그리고 소재의 다양화로 인하여 보철물 가격을 산정하기 어려운 시기입니다.

예를 들면 가장 기초적인 모형제작 방식에서도 전통적인 방식, 베이스 본딩 시스템부터 프린팅방식 아예 모델이 없는 방식까지 여러 방식이 있습니다.

하나의 보철물이 완성되기 까지에는 수없이 많은 방식이 있습니다.

 

그러하기에 기공료 또한 제각기 이며 최저가격에서 최고 가격의 갭이 2~3배까지 차이가 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보철물의 가격을 단순히 얼마로 정하자고 하는 것은 시대와 맞지 않을뿐더러 회원들간의 의견 일치를 보기는 어렵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인건비의 상승과 재료비의 상승, 최저임금의 상승과 근로기준법 강화 등 점점 더 기공일을 영위해 나가는 것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이중에서도 기공을 해 나감에 가장 어려운 점은 인건비의 산정에 따른 기공료를 측정하기가 어렵다는 것에 있다고 봅니다.

내년도 최저임금으로 주 52시간을 근로하였을 때의 급여가 240만원에 달하고 있으며 , 퇴직금 및 4대보험과 상여금, 식대 등의 복지비를 포함하면 최저시급 근로자 1인에 기공소에서 부담하여야 하는 금액은 300여만원에 이른다는 것에 부담을 느끼고 있습니다.

 

이에, 저희는 여태껏 해온 주먹구구식의 보철물 산정이 아닌 기초적인 데이터를 통하여 인건비를 산출하여 기공료를 정함에 있어 당위성을 가지려 합니다.

이를 이루기 위하여서는 회원 모두의 힘이 필요합니다. 어려운 시기이지만 우리들을 위해 데이터 구축을 위해 아무쪽록 도움을 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아래의 데이터 작성은 예시 사진과 같이 부분별 작업에 걸린 총 소요시간을 적어 주시면 됩니다.

가령, 양악(바이트트레이) 스톤 작업을 할 때 한 쪽 악을 작업하고 스톤이 경화 될 때까지 대기하였다가 반대쪽 작업을 하게 되는 데요 , 이때 대기 시간을 포함한 총 시간을 적어 주시면 됩니다.

 

이렇게 데이터를 만들어야 1개의 보철이 완성되어 나가는 데 걸리는 총 시간과  단계별 작업에 들어가는 인건비 계산을 해 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20180917_104152.png

 

 크라운 임플란트 원가 조사.xlsx

 

아무쪼록 많이 힘들고 바쁜 시기이지만, 우리가 스스로 만든 인건비를 가지고 "기공료 현실화!!!"라는 것에 보다 한 걸음 다가 갈 수 있기를 희망합니다.

 

합께 해주시길 간곡히 부탁드립니다.

 


Articles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