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호비방, 특정 업체 및 개인 광고/ 비방, 작성후 탈퇴를 반복하는 게시물 및 운영에 차질을 빚는 게시물은 통보없이 삭제됩니다.
- 학술관련한 질문은 포럼란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정치. 종교및 지역갈등 등을 유발할 수 있는 글은 게시을 금지합니다
- 급여,기공수가와 관련된 일체의 게시글은 삭제합니다
- 자유게사판의 학술관련한 질문은 게시글 검토후 포럼게시판으로 이동됩니다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서울=연합뉴스) 김길원 기자 = 우리나라가 어렵던 시절 선풍기는 무더위를 식혀주는 최고의 제품이었다. 집집마다 1~2대의 선풍기를 틀어놓고 여름을 보내는 건 부잣집이나 가난한 집이나 마찬가지였다.

물론 언제부터인가 에어컨이 선풍기를 급속도로 대체하기 시작했지만 아직도 서민들에게 선풍기의 존재가치는 매우 크다. 에어컨에 비해 전력 소비량이 크게 적으면서도 언제 어디서나 기동성 있게 더위를 식힐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선풍기가 요즘은 엉뚱하게도 `논란'의 진원지가 돼 버렸다. 선풍기를 틀어놓은 채 잠을 자다 숨진 사람들을 두고 과연 그 원인이 선풍기냐, 아니냐에 대해 여러 분석이 엇갈리고 있기 때문이다. 생물학연구정보센터(BRIC)에서는 최근 선풍기 사망사고를 두고 논쟁이 붙기도 했다.

사실 선풍기 사망사고가 어제 오늘의 얘기는 아니다. 문제는 지금이 `검증의 시대'라는 점이다. 과거에는 선풍기를 틀어놓고 자면 사람이 사망할 수 있다는 지적이 모두에게 당연하게 받아들였다면 요즘은 이 같은 지적이 의학적 근거가 있는가를 두고 따져 묻는 시대라는 것이다.

최근에도 무더위가 시작되면서 일부 지방에서 선풍기를 틀어 놓고 자던 사람이 숨지는 사고가 잇따르자 다시 선풍기 논란이 커지고 있다.

선풍기 사망사고가 얼마나 의학적으로 관련이 있는지 전문가들로부터 의견을 들어봤다.

◇ 온라인 백과사전엔 `한국의 미신'으로 치부 = 온라인 백과사전인 `위키피디아'를 보면 선풍기 사망(Fan Death) 사고가 한국의 미신(South Korean Urban Legend) 정도로 치부돼 있다.

이 백과사전은 선풍기 사망이 밀폐된 방에서 선풍기를 켜놓은 채로 잠을 자면 질식, 저체온증 등으로 사망할 수 있다는 대한민국의 속설인데 다른 나라에는 이런 사례가 없다고 단정 짓고 있다.

또한 이런 속설은 자동차 에어컨에도 적용돼, 한국인들은 자동차 창문을 약간 열어놓는 경향이 있다고 이 백과사전은 덧붙이고 있다.

특히 위키디피아는 한국에서 만들어진 선풍기에 타이머 스위치가 달려 있는데 이는 사고를 막기 위해 선풍기를 틀어 놓고 잘 때 사용하기도 한다고 소개하고 있다.

물론 이 백과사전 자체가 네티즌이 참여해 만드는 것이기 때문에 신뢰성을 가지기는 힘들하고 해도 일단은 누군가 부정적 견해를 단정적으로 정리해 올려놓은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위키디피아는 나름대로 전문가의 견해도 곁들이고 있다.

저체온증 연구 전문가인 캐나다 마니토바(Manitoba) 대학의 고드 기에스브레쳇(Gord Giesbrecht) 교수는 선풍기 사망사고에 대해 "상상하기 힘든 일이다. 저체온증으로 죽으려면 (체온이) 하룻밤 사이에 섭씨 10도가 떨어져 섭씨 28도까지 내려가야 한다. 여기 위니펙에는 눈더미에 누워 자는 사람들도 있지만 멀쩡하다. 나이든 사람이 사흘 내내 선풍기를 켠 채로 밀폐된 방에 앉아 있다면 혹시 모르겠다. 하룻밤 사이에 체온이 2~3도 정도 떨어진다고 저체온증으로 사망하지 않는다. 8도에서 10도는 떨어져야 저체온증으로 사망할 수 있다"고 적혀있다.

이 같은 의견에 대해 관동대 연동수 박사와 세브란스병원의 인요한 교수 등도 비슷한 견해를 밝힌 것으로 이 백과사전에는 적혀 있다. 이대로라면 선풍기 사망사고는 이 백과사전이 규정한 것처럼 한국의 미신 정도로 밖에 치부될 수 밖에 없다.

◇ 전문가 일부는 "선풍기가 `저체온증', `저산소증' 유발" 반박 = 그렇다면 선풍기 사망사고에 대한 다른 전문가들의 의견은 어떠할까?

위키디피아의 단정적 입장과 달리 선풍기가 사망사고의 직.간접적 원인이 될 수 있다고 보는 견해도 있다. 이는 선풍기 때문에 `저체온증'과 `저산소증'이 생길 수 있다는 주장으로 요약된다.

송형곤 성균관의대 삼성서울병원 응급의학과 교수는 "수면 중 선풍기 사용으로 인해 사망사건이 발생하는 것은 저산소증으로 인한 것으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송 교수의 설명은 이렇다. 보통 대기중의 산소가 20% 정도 있는데, 문을 닫은 채로 선풍기를 얼굴 쪽으로 향하게 되면 얼굴 쪽은 진공상태와 비슷하게 된다. 특히 술을 먹고 선풍기를 오랜 시간 얼굴 쪽을 향해 사용하게 되면, 자다가 서서히 산소가 희박해져 의식이 아른해지는 경우가 많다.



때문에 송 교수는 수면 중 선풍기를 사용해야 할 경우에는 창문을 꼭 열어놓으라고 권한다. 그리고 수면유도기인 30분에서 1시간 사이에는 체온이 높이 올라가는 만큼 선풍기 타이머를 30분~1시간 정도에 맞춰놓는 게 좋다고 송 교수는 덧붙였다.

또한 술을 마셨을 때는 선풍기를 사용하지 않거나, 얼굴 쪽을 향하지 않게 해야 한다고 송 교수는 지적했다.

강희철 세브란스병원 가정의학과 교수도 같은 견해를 보였다.

강 교수는 "면역력이 떨어진 상태에서 선풍기 바람을 쬐면 저체온증이나 호흡곤란 등이 생길 수 있다"면서 "선풍기가 직접 사인이든, 아니든 사망 가능성을 높이는 것임에는 틀림없다"고 주장했다.

◇ 상당수는 선풍기 사망사고 "근거 없다"에 무게 = 일부 전문가들이 선풍기 사망사고의 개연성에 대해 추론한 것과 달리 상당수는 위키디피아에 실린 내용처럼 "근거가 없다"면서 일축했다.

모은경 강동성심병원 호흡기내과 교수는 "의학적 근거가 없는 얘기다. 의학서적에도 언급된 바 없고, 외국 쪽에서도 그런 연구는 없었다"고 잘라 말했다.

또 이윤성 서울대의대 법의학교실 교수도 "선풍기 때문에 호흡기 장애나 저체온증이 발생해 사망사고로 이어진다는 것은 전혀 근거가 없다"고 주장했다.

익명을 요구한 한 호흡기내과 교수는 "재미있는 내용이라서 전에 자료를 찾아봤는데 아직까지 의학적으로 검증해놓은 내용이 없었다"면서 "선풍기를 틀어놓는다고 해서 저산소증이 오지는 않는 만큼 호흡기의 문제는 아닌 것 같다"고 말했다.

조현재 서울대병원 순환기내과 교수는 "선풍기를 켜놓은 채 잠을 자다 심장돌연사가 종종 일어나고 있지만 이는 돌연사 시점에 우연히 선풍기가 켜져 있었을 가능성이 커 보인다. 따라서 선풍기를 켜놓은 것과 돌연사와는 직접적으로 연관관계가 없어 보인다"고 설명했다.

선풍기가 심장질환을 일으킬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해서도 많은 전문가들이 부정적 입장을 내비쳤다.

윤덕형 강동성심병원 순환기내과 교수는 "그런 얘기를 들어본 적은 있지만 심장과는 관련 없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 과학적 규명 위해 `부검' 필요성 제기 = 선풍기 사망사고에 대해 엇갈리는 단정적 의견과 달리 차후 과학적으로 규명할 필요가 있다는 조심스런 의견도 있었다. 즉 지금까지 선풍기를 켜놓은 채 자다 숨진 사람에 대해 과학적으로 검증절차가 없었다는 점이다.

특히 선풍기 사망사고가 선풍기를 많이 사용하는 우리나라의 특성상 다른 나라와 비교가 불가능한데도 이와 관련한 논문이 전혀 없다는 점도 과학적으로 찬반의 근거가 희박하다는 점을 뒷받침해주고 있다.

유지영 강동성심병원 응급의학과 교수는 "선풍기를 틀어놓고 자다가 사망했다는 얘기는 들어본 적 있지만 의학적으로 검증된 바가 없다"면서 "저체온증이나 저산소증, 또는 뭔가 다른 메커니즘이 있을지 모르겠으나, 우리나라가 아직 부검에 대해서 꺼리는 분위기인지라 밝혀진 바가 없는 것 같다"고 말했다.

아직까지 인과관계가 부정확한 만큼 부검 등을 통해 과학적으로 규명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이 병원 순환기내과 한규록 교수도 "선풍기를 틀어놓은 채 자다 숨졌다면 심장보다는 호흡기쪽의 문제가 아닐까 생각한다"면서 "규명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정성구 서울대병원 응급의학과 교수는 "선풍기에 의한 사망 사고가 보도된 바 있지만 이는 근거자료가 전혀 없다"면서 "현재 상태에서 이게 선풍기에 의한 사고인지, 아닌지는 알 수 없다"고 말했다.




P.s
아뭏든 선풍기 틀어놓고 자면 안됩니다... 몸에 좋지 않은거 같고... 전기세는 확실이 올라간다는거... -.-;
  • ?
    3M Lava 2008.07.16 19:08
    유익한자료 감사함니다....
  • ?
    넘치는자신감 2008.07.16 19:55
    정확한 원인이 무엇인지 궁금해지네요~~~^^:;경험상으로는 얼굴에 선풍기를 켜놓고 장시간 있어보니깐 답답하긴 하더라구여~ㅎㅎ
  • profile
    임불란 2008.07.16 20:48
    재밌네요
    그래도 가급적 선풍기켜놓고 자진 마시길...
    감기걸려요
  • ?
    치아사랑 2008.07.17 00:17
    선풍기 바람에 담날 아침은 얼굴이 퉁퉁 붓는다는~ ㅠ_ㅠ
  • ?
    초저속통신망 2008.07.17 01:17
    저도 오늘 이기사 읽었는데..
    지금까지 죽은 사람들은 무엇인지..
    예전에 뉴스에서 질식사라고 그림까지 그려가며 나왔던 기억이 나네요.. .ㅎㅎ
  • ?
    대조달 2008.07.17 04:49
    저도 선풍기 켜고 자면 큰일나는줄 알고있었어요^^
  • ?
    산들바람 2008.07.17 06:10
    저는 선풍기를 발쪽으로 하고 잔다는 ㅎㅎㅎ
  • ?
    불같은강속구 2008.07.17 06:30
    선풍기는 얼굴에 쐬야 제맛인딩 ㅎㅎ
  • profile
    헨지 2008.07.17 09:17
    선풍기를 얼굴에 쐬면서..
    자면.. 공격당한다는 느낌이 드는건..왜인지 ㅎㅎ
  • ?
    자연그대로 2008.07.17 10:24
    그렇군요....ㅎㅎ
    올여름엔 선풍기로 이겨 내야 되는데....
    어찌 이겨 낼꼬....
  • ?
    에스더 김 2008.07.17 18:00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
  • ?
    덴쳐리 2008.07.18 07:05
    선풍기 바람이 모기의 난입을 막아준다는.....저만의 이론일까요? ^^;;
  • ?
    아기나무 2008.07.18 19:53
    ㅋㅋ 제방 선풍기가 타이머가 고장이 나서 불안해서 숙면에 방해가 된다는... ㅋㄷ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영상 화면 캡쳐 후 게시물내에 직접 사진이 보이게 질문하는 방법 / 07분 05초 4 덴탈2804 2024.02.27 332
공지 자게 일반회원에서 정회원이 되는 빠른 방법 덴탈2804 2021.01.26 6962
공지 자게 홈페이지 개편후 주요 변경된 이용 안내입니다 (2019.10.25) 덴탈2804 2019.10.30 11829
공지 자게 [자유게시판] 게시글 관리규정 (2019.10.25 변경) 덴탈2804 2015.11.24 89573
공지 자게 [공지] 아이디 및 비번찾기 안내입니다 file 덴탈2804 2013.08.01 148902
12569 자게 교합 책 추전좀 해주세요. 8 곰팽이 2016.12.29 2706
12568 자게 [이달의 세미나] 2017년 09월 세미나 안내입니다 1 file 덴탈2804 2017.08.28 2706
12567 자게 가슴이 말하는것을 ....실천 할때입니다! 11 유하성(유로) 2011.12.08 2705
12566 자게 denture 보험화가 기공에 미치는 영향은 어떨까요? 2 cheer up 2012.01.20 2705
12565 자게 치과기공사의첫 발을 내딛다. 10 박성민 2012.11.05 2705
12564 자게 [ 정보 ] 구강 촬영용 미러 & 블랙 플레이트 4 file 독수리눈 2016.11.24 2705
12563 자게 실명인증 강제로 바뀌었군요. 8 Heron 2016.11.29 2705
12562 자게 소화가 안되네요... 3 박호성 2011.11.16 2704
12561 자게 야* 좋아하시는분들.. 4 카페이장 2012.09.11 2704
12560 자게 선배님들...임플란트 매몰시 구멍막히는거 조언좀해주세요ㅠㅠㅠ 16 맹맹맹구~ 2011.05.06 2703
12559 자게 조만간 캡 원데이함 할까요? 36 오야붕 2011.10.29 2703
12558 자게 기공료 현실화는 어디로? 7 마루세울 2012.06.16 2703
12557 자게 기공물 주머니 제작하는곳좀... 4 칭찬받은고래 2013.11.20 2703
12556 자게 덴탈2804가 문을 닫는 일이 생기더라도.... 15 file Nuclear 2019.07.16 2703
12555 자게 [re] 무암의 간식[오늘 번개현장서 맛만 볼수있슴] 13 file muam 2007.02.06 2702
12554 자게 나이트 가드를 만들다.. 7 SYEON 2008.05.09 2702
12553 자게 주말엔 이분하고 데이트 예정입니다... 24 file Nuclear 2007.11.10 2702
12552 자게 미국 캘리포니아 이나 캐나다? 6 과식 2015.05.18 2702
12551 자게 [이달의 동영상 강좌] 2014년 4월 17일 예고입니다 4 덴탈2804 2014.04.10 2702
12550 자게 자유게시판 글쓰기 권한을 하루 이틀정도만 조정합니다 34 관리자 2011.08.29 2701
12549 자게 파우더 맞춰보세요 (상품 겁니다~ 7일 까지) 14 file code 5 2012.04.05 2701
12548 자게 [나이마나] 님 글은 일괄 삭제합니다. 7 file 덴탈2804 2012.05.21 2701
12547 자게 구직 ^^* 16 썩은이빨 2012.10.14 2701
12546 자게 이번 대전국재학술제 관련 인터넷기사입니다. 분통이터집니다. 13 supremeK 2013.07.12 2701
12545 자게 신터링훠네스 사용하실때 3 치과기공인 2017.02.05 2701
12544 자게 풀덴쳐 폐구인상과 왁스림 관련해서 기공사님들께 질문드립니다 5 혈기린 2018.08.11 2701
12543 자게 재료!! 6 마징가?? 2008.07.02 2700
12542 자게 자동 로그인.... 4 배윤권(미래소장) 2011.11.10 2700
12541 자게 한국에 롯데사태가 있었다는데 여러분들의 생각은? 11 이청용골 2015.08.06 2700
12540 자게 <b>[대구] 듀세람키스 번개 세미나.. 43 file 모리슨(장동열) 2009.05.27 2699
12539 자게 내일 장가 갑니다~~ 27 하이쭈~ 2007.03.03 2699
» 자게 [퍼온글 네이버] 어릴적부터 선풍기 틀어놓고 자면 안된다 했는데... 13 스마일맨 2008.07.16 2699
12537 자게 1인 시위 하신다는데... 박호성 2011.11.18 2699
12536 자게 실내 기공실 가스어떻게 쓰시고계시나요? 5 현이아빠 2016.12.01 2699
12535 자게 밴쿠버에서 기공하시는 님들~ 3 조훈희 2011.10.15 2698
12534 자게 카메라,,설정값? 8 ysy3647 2010.01.19 2698
12533 자게 꽃구경 함하이소~~^^ 23 file First Class 2007.03.30 2698
12532 자게 기공소 왝스타는 냄새 등 특유의 냄새 정화가는할까요? 6 설악산 2015.10.19 2698
12531 자게 인류의 진화과정 7 file 암튼 2009.11.26 2697
12530 자게 머구리신고는..어떻게하나요? 36 마가렛 2009.11.22 2697
Board Pagination Prev 1 ...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 419 Next
/ 419
  뉴스 & 칼럼
  자유게시판
  업계홍보 게시판
  한줄 게시판
 


* 2804아카데미 세미나 안내
✔ exocad 완벽 마스터! 익산
전액 국비지원! 6월 30일 마감!
7월22일~8월9일 평일 15일 과정
✔ 3Shape 종일반 20기 대구
취업 및 파트전환 전문 과정
6월 24~28일 평일 5일 과정
✔ 3Shape 고급 과정 33기 대구
이제는 모델리스 시대!
6월 22~23일(토/일) 2일 과정
✔ 3D Printing 오픈 세미나 익산
1급 지도사의 실패없는 프린팅!
3월 31일(일) 1일 과정
✔ 라미네이트 오픈 세미나 익산
디지털 진단 및 CAD 활용!
7월 21일(일) 1일 과정
✔ 3Shape 초급, exocad 초급
    메쉬믹서 활용
덴탈CAD, 온라인으로 배우자!
강의 동영상 6개월 이용 가능
문의전화 010.3510.2804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