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게

교합 관련 질문 올립니다.

by 서동희 posted Nov 19, 201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이번주부터 듣게 되는 교합세미나 때문에
전에 사서 봤던 교합 관련책들을 다시 꺼내서 보고 있습니다.
역시나 발등에 불이 떨어지니까..
이해 되는것도 생기고 궁금한것도 생기고 그러네요
그런데 궁금증을 마땅히 물어볼곳도 없고
시원한 답변을 듣기 힘들어 선배님들에게 질문을 올려 봅니다.

1. 평균치 교합기는 대부분 camper's plane 을 기준으로 하고
    반조절성 이상은 FH plane 을 기준으로 하고 있는데
    왜 기준을 달리 하는지 궁금하고 어떤 차이가 생기는지 궁금합니다.

2. 교합기에서 여러가지 기준면들을 기준해서 만드는데
    만약에 FH plane 을 기준으로 하여 교합기를 만든다면 그 의미는
    교합평면과 FH plane을 평행하다는 가정을 두고 교합기를 만든다는 의미 인가요 ?
    아니면 FH plane을 기준 삼아서 환자의 교합평면을 교합기로 가지고 온다는 것을 의미하는 건가요 ?
    후자라고 하면 FH plane 을 기준삼든 camper;s plane 을 기준삼든 어차피 기준에 맞게 교합기에
    장착하면 같은 곳에 mounting 하게 되니까 큰 차이가 없는거 아닌가요 ?

3. 평균치 교합기는 대부분 과보상 교합기로 제작되는 것으로 알고 있고 (맞나요 ?)
   평균치 교합기는 average mounting을 하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평균치 교합기(dental hobby 교합기 기준)는 시상과로각 30도
   절치지도판 시상과로각 10도 측방과로각 10도로 되어있다고 하는데
   (절치지도판 시상과로각이 10도이면 시상절치로각은 80도 인거 맞나요 ?)
   인체의 평균치로 시상과로각이 (범위5~55도)33도고 시상절치로각이 (범위 40~80도)60도 인데
   - 시상절치로각은 거의 범위내에서 최고치를 주면서 그에비해 시상과로각은 범위내에서 평균보다 더
   낮은 값(예를들면 20도 이하)으로 잡지 않은 건가요 ?
   - 그럼 평균치 교합기는 전치부 수복에 사용하면 교합기를 믿고 제작하게 될때
   원래의 형태보다 조금 더 길어지는 형태가 되는건가요 ?(시상절치로각이 크니까)
    - average mounting으로 장착했을 때 구치부가 올라가는 형태가 되는데요 그렇게 되면 아마도
    구치부에서는 시상과로각이 더 낮아지는 효과가 생기게 될것 같은데 이부분은 제작되면서 부터
    의도된 부분인가요? (아니면 제작되면서 부터 average mounting 하게 될 때 시상과로각이 30도가
    나오게 되도록 설계 되어있나요 ? arbitrary mounting 해야 교합기의 의도를 더 살릴 수 있는건
    아닌가요? )

   간단하게 궁금한점만 올리려는 의도 였는데...
   쓰다보니 글이 너무 길어져 버렸네요..
   최대한 어떤 의도로 질문한건지 알기 쉽도록 글을 쓰려고 썼는데;;;;;; 안그렇게 된거 같아요;;
   아직 스스로도 개별적인 내용을 이해 할듯 말듯 한 정도에서 전체적인 부분을 생각하면서
   퍼즐을 끼워 맞추고 있는데..  용어적인 설명 부분과 전체적인 부분들이 합쳐지지가 않아요-
  
  세미나 들을 때 물어볼려고 적어놓았던 몇가지 질문이였는데
  답답해서 그전에 글을 씁니다.
  잘 아시는 선배님들이 보실 때는 무슨 말도 안되는 질문을 하고 있나 ? 하실지도 모르고, 중간중간에
  개념 자체가 정리되지 않아 말이 안되는 질문들도 있을지 모르지만 그런부분은 아직 미숙해서
  그런거겠지 하고 너그러이 봐주세요- ^^;;

추운데 감기 조심하시고  끝까지 읽어봐 주셔서 감사합니다.    

Arti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