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게

노력에 대한 좋은 글

by 나경채 posted Aug 16, 201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구국운동을 하다 붙잡힌 이승만은 서소문 옆의 한성감옥, 속칭 '선혜청 감옥'에 갇혀 사형수의 형틀을 쓰고 있으면서도 영어 단어를 외워 "'언제 죽을지도 모를 사람이 그런 공부를 해서 무엇에 쓰나'하고 옆에서 물으면 '죽으면 못 쓰더라도 산 동안 할 건 해 보아야지. 혹 쓰일 일이 있을지도 모르니까'하고 태연히 대답했다"고 한다.

같이 수감되었던 신흥우의 증언에 따르면 이승만은 감옥에서 '영일사전'을 갖고 있었고, 선교사들이 들여보낸 미국 잡지들과 신약성경을 교과서 삼아 거기 실린 영어 단어와 문장을 관사 하나 안 틀리게 다 외웠다고 한다. 나중에는 의욕을 갖고 영한사전을 F항목까지 집필하기도 했다. (34p)

강준식 지음 '대통령이야기 - 국민을 받들고 시대정신을 구현한 대통령은 누구였을까?' 중에서 (예스위캔)

노력. 결국 우리에게 중요한 건 재능보다는 노력입니다. 한 분야에서 일정 수준 이상의 재능을 가지고 있다면, 그의 성취는 노력이 좌우하기 때문입니다. 또 아무리 뛰어난 재능을 타고 났다해도 노력 없이는 무언가를 이룰 수 없다는 것도 그 이유이지요. 물론 재능은 어찌할 수 없지만, 노력은 우리가 하기에 달려 있다는 현실적인 이유도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유용해보일 때'는 '노력'을 합니다. 모두들 어느 정도는, 학생 때 공부를 하고 신입사원 때는 업무를 열심히 배웁니다. 하지만 '상황'이 굳이 노력할 필요가 없어보이기 시작하면 변하지요. 해봐도 안될 것 같다는 생각이 들기 시작할 때, 나이가 이미 많이 들었다고 느낄 때... 노력을 멈추고 공부를 그만 둡니다.

이승만 전 대통령. 그는 20대 후반 구국운동을 하다 붙잡혀 수감되었습니다. 언제 죽을지 모르는 상황. 하지만 그는 사형수의 형틀을 쓰고서도 영어 단어를 외웠습니다. 그런 절망적인 상황에서 영어 단어 하나를 더 외울 생각을 한 겁니다. 한 순간도 헛되이 보내지 않은 겁니다.

"프린스턴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지만 남편은 늘 학생처럼 열심히 새 (영어)단어를 외우며 꾸준히 공부를 했다. 나이 80이 넘을 때까지도 남편은 계속 공부를 했다." 부인 프란체스카 여사가 한 말입니다.

사형수 형틀을 쓰고도, 80세가 넘어서도, 영어단어를 외운 이승만 전 대통령... 자기경영이란 그런 거라는 생각을 했습니다.
.
.
.
.
.
좋은 글이 있어서 2804회원들과 공유하려고 퍼왔습니다.
제가 알았던 이승만 대통령은 미국의 꼭두각시 였다는.... 역사적으로만 생각해서 그런가봅니다.
자기경영을 이렇게 열심히 한 사람을... 잘못 생각했네요^^



Arti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