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TA VM13 사용기

by 뉴트리죤 posted Dec 07, 200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기본 세이드 2M2






기본 세이드 2M2






opaque 상태 (일반 오펙을 spray on 으로 뿌려 작업한 상태)





요런 정도의 종류로 기본 세이드 축성은 가능 하다. 하지만 때때로 더 많은 파우더를 사용해야할경우가 많은편





EL2 루미너리와 같은 효과의 형광성 물질 다량함유





firing chart 참고하세요





소성후





base dentin.... 투명도는 기존의 오디와 덴틴 중간 정도의 느낌이 든다. 오디는 위의 이엘2 올리듯 오펙이 비치지 않을 정도로 올리고 표면에 노출이 되면 오펙시하지만 base dentin은 그 단독으로도 두께 얇은 부위를 카버할수 있어서 편리하다.당연히 오디보다 두께를 많이 해도 좋다.더욱이 덴틴이 기존보다 더 투명한것이 이파우더의 또다른 점이므로 덴틴의 두께를 보충하는 코아 칼러를 감안해야할거같다.





excusion시켜서 대합치 절단연에서 약 1mm정도 짧게 형성하고 나머지 대합절단연까지는 덴틴이 수복될것이다.






밥이 와서 더이상 빌더업 할수 없어서리 일단 굽고 ㅋㅋㅋ 드라이 아웃되면 세이드가 뿌옇게 되자나요





Dentin 축성...완성된 형태의 약 90~95%정도의 컷백된 형태의 빌드업.. 오메가 900보다 월등히 투명감이 조은편이라서





window파우더를 얇게 넣어보앗슴... 자연치 편광사진을 보면 덴틴과 에나멜층 사이의 투명한 띠층을 보신분 많죠? 그런 효과 를 감안





Incisal view 최대한 얇게하는것이 tip





EnL 에나멜 라이트와 다크 두종류 뿐이라서 편함니다.선택의 고민 줄여줘서 전 넘 감사하다 생각한다는 거





EE9 =오메가의 T5.......enamel effect = T 종류라 보시면 될 듯





EE1= T1 or OT3





Incisal view





형태적으로 부족한 나머지 부위에 NT(T4)or window를 채운다





블루한 eEE9을 제외한 나머지 EE나 NT와 dentin 1;1 믹스





최외곽부위에 마무리 해준다. 할로우 이펙트와 그레이시한 느낌을 지울수 잇게 해준다.





Incisal view





firing후 세이드 가이드와 메칭





window+AZT8 mix해서 카라멜톤 효과를 치경부에 조금 첨가 하고자 한다. EE5~7정도를 CE대신 사용할수도 잇다. 윈도우와 적당량 섞어 사용하기를 권합니다.
interproximal에는 베이스 덴틴을 채웟음






융선 부위에 white한 느낌을 가미하고 싶다. EE1+AZT1 or Interno 1





형태적으로 부족한 나머지 부위에 NT(T4)or window를 채운다





firing후





contouring





more closure





glazing후 (gingiva color 로 퇴축된 치은을 형성하길 원해서 집어넣엇는데 구강내에서 어떨지 걱정됨, 아직 진지발 파우더로 재미본적이 별로 없어서리)















호작질해놓은 듯한 자리 함 보소.......언제나 전쟁치르듯 바쁠땐 저거 보다 더 할듯 ㅋㅋ





이거 하는라 올도 하루가 다 갔네요.... 시마이하이시더~~예 (사진 촬영 협조 해준 김승진님께 감사)



출시 초기에 완전히 바뀐 체계 때문에 많이 애를 먹엇던 것 같습니다. 하지만 파우더의 특성을 알고 나니 이제는 편히 그 특유의 투명감을 만끼하며 작업하고 있습니다. 제나름대로의 경험과 박정천 소장님 지난 강의 를 토대로 글 작성 해보렵니다. 다소 부족하더라도 이해하시고 제 느낌대로 주절거려 볼렵니다.
  제일 큰 변화는 Base Dentin이라는 신개념과 dentin의 투명감이 한결 업글된 것이 특징입니다.
VM13=PFM PFG
VM 7= INCERAM
VM 9=ZIRCONIUM
숫자는 열팽창계수대를 의미함
세가지 모두 같은 색체계를 가지고 있어서 13만 익숙하게 하면 나머진 쉽겟죠